네이버 클로바 더빙은 텍스트 문자를 입력하면 AI가 목소리를 합성하여 더빙을 만들어주는 서비스 (TTS 기술 이라고도 합니다: 아래 설명) 입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고, 사람 목소리와 같이 자연스러우며 텍스트의 속도와 음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AI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용하기도 쉽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목소리를 노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 때문에 유튜브, 인스타그램의 컨텐츠 제작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1.TTS (Text To Speech) 기술이란
텍스트를 사람의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뜻하며, 이 기술은 미리 사람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하여, 이를 단위로 쪼개서 저장해 둡니다. 이 시스템에 텍스트가 입력으로 들어오게 되면, AI가 주관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문자열 (문장)에 맞는 음성 목소리 데이터를 찾아 조합하여 문장을 완성하게 됩니다. AI와 빅데이터의 힘으로 이런 조합이 더욱 세밀하고 정교해져서 이젠 거의 사람의 목소리와 분간이 안될 정도로 자연스러워 졌습니다.
AI의 딥러닝 기술이 녹음된 음성을 기반으로 녹음 되지 않은 음성의 영역까지 예상하여 제조하고 조합하기 때문에 훨씬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1.네이버 클로바 더빙 개요
네이버 클로바 더빙 기술은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세계 최초로 고안이 되었으며, 해당 기술이 네이버로 넘어가서 이 회사에서 제작한 AI보이스 서비스 체계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컨텐츠에 맞는 다양한 캐릭터의 AI 보이스 를 무료로 서비스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동영상에도 목소리를 입힐 수 있고, 단순 Text 또는 PDF 화일 형식의 문자에도 목소리를 바로 입힐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동영상 제작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단, 출처 표기를 무료사용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해야 합니다.)
제작한 콘텐츠는 2차 저작물로서 원 컨텐츠 소스의 출처 표기와 함께 채널에 무료로 게시가 가능합니다.
2. 네이버 클로바 더빙 사용방법
1) 네이버 클로바 더빙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a) 입력 준비물: PDF화일 또는 동영상
(b) 로그인 준비물: 네이버 아이디 (네이버 클로바 더빙 사이트 로그인을 위함)
2) 네이버 클로바 더빙 홈페이지에 접속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누르시면 바로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구글이나 네이버 상에서 검색하셔서 아래와 같은 “클로바더빙” 링크를 누르시면 됩니다.
3) 위 링크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홈페이지 화면이 나타나고, 여기서 아래의 “무료로 시작하기” 버튼은 눌러 로그인을 시작합니다.
위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고 (네이버 로그인이 된 상황일 때 화면입니다)
6)위의 화면에서 “새 프로젝트” 가 기재된 직사각형 모양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비디오”로 할지 “오디오”로 할지 선택하고 프로젝트 명을 기입합니다. (아래 예에서는 비디오를 선택하고 프로젝트명을 “Test1″으로 하였습니다.
8) 아래 화면과 같이 로딩한 화면이 뜨고 그 우측에 더빙 부분을 입히면 됩니다.
9) 더빙 부분의 성우 캐릭터를 선정(아래 예에서는 “아라”)하고 그 음성을 “미리 듣기”를 하여 확인을 한다음 마음에 들면 “더빙 추가”를 눌러 확정합니다.
10) 위에서 더빙 추가를 하면 아래 화면의 빨간색 사각형 안의 화면이 추가가 되면서 더빙이 입혀지는 모습이 확인이 됩니다.
11) 위의 편집 완료된 화일을 다운로드를 합니다. (빨간 사각형 박스 안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주의사항 문구가 뜹니다. 너무 두려워하지 마시고 (출처표기 하시고 사용하시면 되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과 같이 개별 더빙 화일, 음원 화일, 영상 화일 3가지 종류 중에 선택하여 다운로드 할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네이버 클로바 더빙의 경우에는 무료로 지원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한 달에 쓸 수 있는 총 횟수가 제한이 되어 있습니다. 한 달에 다운로드는 총 20회, 글자수는 총 15,000자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네이버 클로바 더빙 사용시에는 출처를 꼭 표기를 해야 합니다. 특히 영상 화일 저장을 선택하면 오른쪽 상단에 “CLOVA Dubbing” 이라는 워터마크가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하지만 음원 만을 사용할시에는 꼭 자막 또는 워터마크중 하나를 써서 출처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특히 자막을 이용하여 “클로바 더빙으로 제작한 AI 보이스 입니다”라는 표시를 해줘야 합니다.
위의 출처 표시를 하기 싫으신 분들은 네이버 클로바 더빙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